소소한 꿀정보

반응형
광주 광역시 8월1일부터 시내버스 및 지하철 요금 인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시내버스는 요금 인상은 아래와 같습니다.

< 시내버스 요금조정 안내문 >

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요금이 201681일부터 아래와 같이 조정 됨을 알려 드리니, 시내버스 이용에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.

적용일시: 20160801() 00:00시부터

조정내용

구 분

현 행

조 정

일 반

(19세이상)

교통카드

1,100

1,250

현 금

1,200

1,400

청소년

(13~ 18)

교통카드

750

800

현 금

900

1,000

어린이

(6~ 12)

교통카드

350

400

현 금

400

500


광주 시계 외 지역 : 거리비례제 적용(2당 일반 140, 청소년 71.4)

광역환승할인 요금 : 700(시군버스 광주버스 150원 추가 요금)

(요금조정으로 대중교통수단간 요금이 상이할 경우 높은 요금에서 낮은 요금을 뺀 차액을 징수합니다)

보호자가 동반하는 6세미만 소아는 1명까지 무료(1명 초과시 1인당 초등생 요금적용)

버스요금 조정배경 및 필요성

운전원 인건비, 연료비 등 운송원가 증가로 시 재정지원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요금조정 필요

운 송 원 가 :111,545억원 → '151,795억원 (250억원, 16.2% 증가)

재정지원액 :11301억원 →'15532억원 (231억원, 76.7% 증가)

총 운송원가중 운전원 인건비와 연료비가 84%를 차지하여 원가절감에 구조적 한계

주 이용객인 어르신, 주부, 학생 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조정 최대한 억제

요금조정시기 : 11. 7 이후 5년만에 요금조정 (10년까지는 매년 또는 2년마다 요금조정)

타 특·광역시중 부산은 ‘13, 서울·인천·대전·울산은 ‘15년 요금조정 완료

요금조정액 : 타 특·광역시 요금수준과 조정액을 감안하여 일반인 카드기준 150원 인상 (1,1001,250)

15년 운송원가 1,795억원 기준 산정시 464(현행 1,1001,564)을 조정해야 하나, 요금원가의 79.9% 수준인 150원만 조정

시내버스, 마을버스, 지하철간 년 25백만명(169천명)이 무료환승 혜택 (261억원)

15년 시내버스 이용객 143백만명중 17.2%25백만명이 무료환승

07년부터 15년까지 무료환승 손실금 2,630억원 (시 재정지원 3,152억원의 83.5%)

시내버스 인프라 확충 및 교통불편 해소, 친절도와 서비스 향상 노력

시민 교통불편 해소를 위한 시내버스 노선개편 추진 (배차간격 단축, 교통사각지역 불편해소, 혼잡노선 개선, 30분버스 도입 등)

시내버스 인프라 개선, 확충 (버스도착안내단말기, LED행선판 , 유개 승강장 등 지속 확대)

시내버스 운수종사자 친절/인권교육, 운수종사자 불친절행위 처분 강화

시민모니터 요원 확대, 빛고을 빵빵 서비스 밴드 운영 등 SNS 활용 현장민원 신속 대응

운송원가 절감, 집행의 투명성 강화

운송원가 항목 산정방식 대폭 개선, 연료절감장치 도입 (‘16. 5부터 전체 시내버스) 30~40억원 절감

정산검사 시민참여 확대, 운송수입과 비용 공개 등

 

광주광역시 / 광주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






버스는 카드 이용시 50원~150원 사이의 인상폭입니다.
현금으로 이용시에는 100원에서 200원 인상입니다.
성인같은 경우 현금으로 납부시 200원이 올라간 1,400원입니다.
카드를 이용하시는게 더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.




도시철도 요금 인상은 아래와 같습니다.


도시철도 운임조정(인상) 공고



광주도시철도공사에서는 광주광역시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시철도 운임을 다음과 같이 조정 시행함을 공고합니다.


1. 시행일자 : 2016. 8. 1(월) 첫차부터(05:25)


2. 조정내용


 구분

대상 

 현행

 조정

 교통카드

일   반 

1,100원 

 1,250원

대학생

 1,000원

청소년 

 800원

 900원

 어린이

 400원

 500원

 일회용 승차권

 일반/대학생

 1,200원

 1,400원

 청소년

 1,000원

 어린이

 400원

500원 



도시철도 요금도 100원에서 200원의 상승폭입니다.

버스와 동일하게 카드 이용이 아닌 일회용 승차권은

성인의 경우 200원 상승 청소년도 400원상승입니다.

일회용 승차권 청소년,일반/대학생 요금이 달랐는데

조정되면서 1,400원으로 통합이 되네요.

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청소년은 일회용 승차권보다 500원을 절약 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